close
PRESS
KAIST, AI 3개국 도약 추진…한국형 LLM 등 연구
Date 2025.6.24View 75

큐닉스컴퓨터·넥슨·네이버 등 누적 창업기업 1천914곳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인공지능(AI) 주요 3개국(G3) 도약을 목표로 'AI 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R&D)을 진행중이라고 24일 밝혔다.

 

우선 KAIST가 주관하는 '국가AI연구거점'사업(책임자 김기응)을 통해 AI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사회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한국형 LLM(대규모언어모델), 뉴로모픽 반도체, 저전력 AI 프로세서 등 핵심 AI 기술 개발을 비롯해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 정밀의료, 설명 가능한 AI(XAI)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대해 연구도 하고 있다.

 

제조업 분야에서는 장영재 교수 연구팀이 제조 현장 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현실 세계의 기계, 장비, 사물 등을 가상 세계에 구현한 기술)과 AI 기반 예측 기술로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첨단 제조 분야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김성민 교수팀은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해 ㎝(센티미터) 이하의 정밀도로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초저전력 무선 태그 기술을 개발했다.

 

최재식 교수가 창업한 인이지는 산업 공정 최적화, 설비 고장 예측 기술을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해 성과를 내고 있으며, 지난 3월 정부가 추진하는 설명가능한 AI(XAI) 분야 국가전략기술로도 지정됐다.

 

KAIST의 AI 분야 연구 성과는 국제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머신러닝 분야 최고 3대 학회(ICML, NeurIPS, ICLR)의 게재 논문 수에서 최근 5년간 세계 5위, 아시아 1위를 기록했으며, 권위 있는 반도체 집적회로 학술대회인 'ISSCC'에서 19년(2006∼2024)간 평균 논문 채택 수 세계 1위를 차지하며 연구력을 입증했다.

 

 

(이하 생략)

 

 

기사 전문 확인 (URL 클릭)

 

[출처] 박주영 기자 |  연합뉴스  


당사 웹사이트에 공유된 모든 보도 자료는 부분적으로 발췌되었습니다. 콘텐츠는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원래 게시자의 재산으로 유지됩니다.

원본 게시자의 허가 없이 공유 콘텐츠를 무단으로 복사, 복제 또는 재배포하는 것은 엄격히 금지됩니다.